개성곰탕

Project : GAESUNG GOMTANG

Project Manager : JY Lee, Ma Kim 

Direction : JY Lee 

Design : Ma Kim

Site management : Ma Kim 

Branding : J.Jin

GAESUNG GOMTANG


“맛을 찾아 떠나는 기차 여행”을 콘셉트로 한 개성곰탕은, 재료를 직접 고르는 방식으로 단순한 식당을 넘어 따뜻한 설렘과 특별한 경험을 제안합니다. 


기차 창문을 닮은 벽면, 주물 사인, 옛 신문 광고판 등 다양한 요소를 통해 공간 전반에 ‘맛의 여행’이라는 이야기를 자연스럽게 녹여냈습니다.


개성곰탕: 맛있는 여행, 개성을 찾아서


“맛을 찾아 떠나는 기차 여행”을 콘셉트로 한 개성곰탕은, 재료를 직접 선택하는 차별화된 시스템을 통해 단순한 식사를 넘어 색다른 경험을 제공합니다. 테이블 옆 벽면은 기차 창문처럼 디자인되어, 그 안으로는 푸른 풍경이 펼쳐집니다. 주물 사인과 옛 기차역을 떠올리게 하는 신문 광고판 등 다양한 요소를 통해 ‘맛의 여행’이라는 콘셉트를 공간 곳곳에 담았습니다. 개성곰탕이 단순한 식사 공간을 넘어, 기분 좋은 설렘과 따뜻함을 전하는 맛있는 여행지가 되기를 바랍니다.


Gaeseong Gomtang: A Delicious Journey in Search of Uniqueness


Gaeseong Gomtang is a brand built around the concept of a “train journey in search of flavor.” With a unique system that allows guests to personally select their ingredients, the experience goes beyond a simple meal to offer something truly memorable.

The wall beside each table is designed to resemble a train window, revealing lush green landscapes beyond. Cast metal signage and vintage-style newspaper boards—reminiscent of old train stations—further reinforce the journey-inspired theme throughout the space. More than just a dining venue, Gaeseong Gomtang aspires to become a warm and delightful destination—one that offers both comforting food and a sense of joyful anticipation.

GRAPHIC MOTIF


개성곰탕은 ‘기차’를 시각적 모티프로 삼아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구축합니다. 개성곰탕만을 위해 새롭게 제작된 전용 서체는, 둥글게 처리된 글자 속공간이 기차 창문을 연상시키며, 와이드한 비율의 글자는 옆으로 달리는 기차의 속도감과 조화를 이룹니다. ‘개성곰탕’ 로고의 ‘곰’ 글자 중 ‘ㅁ’은 그릇의 형태를 담아내어 브랜드의 정체성을 표현합니다. 이 외에도 기차 노선도를 응용한 곰탕 토핑 조합도, 오래된 기차역의 신문과 금속 주물 사인 등 다양한 그래픽 요소를 통해 브랜드 콘셉트를 일관되게 시각화하였습니다.


The custom typeface, designed exclusively for Gaeseong Gomtang, features rounded counters that evoke the shape of train windows. Its wide proportions convey a sense of horizontal motion, echoing the dynamic flow of a moving train. In the brand logo, the square character "ㅁ" in the Korean word for “bear” (곰) is shaped to resemble a bowl, subtly reinforcing the brand’s identity. Additional graphic elements—such as a topping recommendation chart inspired by subway route maps, vintage-style newspaper prints, and cast-metal signage reminiscent of old train stations—further visualize the brand’s concept in a cohesive and engaging way.

엔도 디자이너들이 고심한 작업 스토리